Study

교육 공학 설계 및 교수 설계 전략 (2) - 1차시. 교육공학의 기초

xodasoo 2023. 9. 26. 01:37

블로그 글과 이미지를 함께 업로드를 해야..벽돌식 구성이 좀 있어보여서 자꾸 미드저니로 만드는 중인데.. 관련성 없는 이미지를 만들어도 되나 싶다. 일단 지금 polar bear에 꽂혀서 만들어본다..

prompt : generate pixar style illustration image about polar bear and educational technology, vivid color, 4k

미드져니가 polar bear와 교육공학 (educational technology) 를 융합해서 어떤 이미지를 만들까 궁금했는데..역시나 별다른 이미지를 도출하진 않는다. 기기를 만지는 polar bear라니 .. ㅋㅋ

 


1차시. 교육 공학의 기초에 대해 공부하기 위한 개요는 아래와 같다. 

1) 교육공학의 정의 

- 기본 정의: 교육과 기술의 융합
- 교육공학의 역사적 배경
- 교육공학을 적용한 실제 사례

 

2) 교육공학의 목적과 범위 (15분)
- 목적: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교육-학습 프로세스 설계
- 범위: 커리큘럼 설계, 학습 자료 개발, 평가 설계 등
- 교육의 다양한 적용 분야: K-12, 대학교육, 기업 교육 등

 

3) 교육공학과 교수설계의 연결성
- 교수설계의 개념 소개
- 교육공학이 교수설계에 어떻게 적용되는가
- 교육공학과 교수설계의 상호작용: 교육의 효과성 향상

 

그럼 이제 하나씩 살펴보겠다. 


 

교육공학의 기본 정의 

  • 적절한 과학기술적인 과정과 자원을 창출, 활용, 관리함으로써 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향상하기 위해 연구하고 윤리적으로 실천하는 학문 : 학습과정과 결과를 모두 포함 
  • 교육공학은 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기술과 학문적 연구를 융합한 분야로써, 이는 교육자와 학습자가 더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
  • 교육공학은 결과와 과정으로 나눌 수 있는데, 결과는 교수매체 분야를 의미하며, 과정은 교수이론과 교수설계과정에 관련된 분야를 볼 수 있음 (Heinic, 1972)
  • 교수공학은 수업과 학습이라는 실제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 학습에 관한 과학적 지식을 적용 (Heinic, 1972)
  • 중요성: 현대 교육에서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서, 다양한 배경과 상황에 있는 학습자들에게 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. 교육공학은 이러한 맞춤형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도구와 전략을 제공
  • 활용 분야: 교육공학은 전통적인 교실 교육부터 온라인 교육, 기업 교육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

 

교육공학의 역사적 배경

  • 1950년대 미국의 Sputnik Crisis: 1957년 소련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'스푸트니크'를 발사한 이후, 미국 내에서 과학과 기술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. 이로 인해 교육공학이라는 분야가 주목을 받기 시작
  • 초기 발전: 초기에는 오디오-비주얼 미디어, 프로그래밍 교육 등이 주된 연구 주제였음
  • 21세기의 교육공학: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교육공학은 인공지능, 빅데이터, 메타버스 등으로 확장

 

사례

  • Khan Academy: 이 사례는 각 학습자의 레벨과 속도에 맞게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무료 온라인 플랫폼
  • Coursera: 이는 세계적인 대학과 기관이 제공하는 강의를 온라인으로 접할 수 있게 해주며, 자격증 프로그램도 있음
  • AI Tutoring Systems: Squirrel AI와 같은 시스템은 학습자 중심의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. 이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각 학습자의 약점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교육 컨텐츠를 제공

 

목적 정의와 그 의미

교육공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교육과 학습 과정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. '효과적'이라는 단어는 여기서 학습자가 설정한 목표나 교육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. '효율적'이라는 표현은 동일한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 최소한의 자원과 시간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. 이 목적이 중요한 이유는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이는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시간, 노력, 그리고 자원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. 즉, 효율적인 학습은 교육 과정을 '가치 있게' 만듭니다.

→ 이 부분은 지피티가 추천한 내용인데 확실히 도움이 안된다.. 

 

교육공학의 연구 영역

교수설계 프레임워크로 ADDIE모델과 Dick and Carey 모델이 있는데 일단 기본적인 이론을 확인한 후 자세히 다루겠다. 교육공학에서는 교육의 과정과 결과 전 범위를 포함한다고 했는데 여기서 교육 과정에 해당되는 건 설계, 개발, 활용이고 관리와 평가가 교육 결과에 해당된다. 

  • 교육공학의 범위 : 설계 - 개발 - 활용 - 관리 - 평가
  • 설계(Design): 교육 목표 설정, 커리큘럼 설계, 학습 자료 및 활동의 선택 등이 이루어집니다. 이 단계에서는 무엇을 가르칠지, 어떻게 가르칠지 등에 대한 계획을 세웁니다.
  • 개발(Development): 설계 단계에서 계획한 내용을 실제 학습 자료나 플랫폼에 구현합니다. 예를 들어, 텍스트북, 슬라이드, 온라인 콘텐츠 등이 이 단계에서 개발됩니다.
  • 활용(Implementation): 실제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개발한 자료와 방법을 적용합니다. 이 단계에서는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가 참여하여 교육이 진행됩니다.
  • 관리(Management): 교육 환경 및 자료를 유지하고 업데이트하는 과정입니다. 교육이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특히 중요하며,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 분석, 피드백 수집 등을 통해 교육 과정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.
  • 평가(Evaluation): 교육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측정합니다. 이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성취도, 교육 목표 달성 여부, 리턴 온 인베스트먼트(ROI) 등을 평가합니다. 형성평가와 총체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.

 

일단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... 다음 포스팅에 하나씩 다뤄야지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