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성 롯데캐슬
주변이 매우 휑하지만 내부 인테리어가 잘 되어 있음
77m2은 방3개 화장실 3개나 있음
📌 기본 요약
- 소재지: 경기 안성시 대덕면 신령리 820, 128동 17층 1702호 (안성롯데캐슬)
- 물건종류: 아파트 (전용 77㎡, 약 23.3평)
- 감정가: 2억 6,200만 원
- 최저가: 1억 8,340만 원 (70%, 2차 진행)
- 입찰일: 2025.06.17 (화)
- 소유자 상태: 파산자, 점유 불분명 (폐문부재)
- 임차인: 없음 (전입자도 소유자 1인 등재)
- 건축년도: 2016년
- 단지 규모: 총 2,320세대 / 30개동 / 롯데건설 시공
- 거래사례:
- 실거래: 2025.06월 2.54억 (최근 실거래)
- 경매 낙찰률: 최근 평균 85~92%
🏘️ 입지 및 주거환경 분석
- 위치: 안성 대덕면 – 도심권 외곽
- 주변환경: 농지와 근생 혼재 지역, 어울초·중앙대 인접
- 교통편의성: 차량접근 무난, 대중교통 보통 수준
- 입지 특성: 개발 호재는 없음, 단지는 대규모이나 외곽성 입지로 정주 인구 위주
🟡 의미: 단지 내 주거환경은 괜찮으나 외부 수요 유입은 한정적입니다. 즉, 투자 목적보다는 실거주자 위주의 수요가 중심입니다.
💰 입찰가 전략
최근 실거래 및 경매 낙찰가를 기반으로 입찰 적정가 범위는 아래와 같습니다.
기준금액 (만원)
감정가 | 26,200 |
실거래 평균 (6월) | 25,400 |
최근 낙찰가율 평균 | 85% |
적정입찰가 (85%) | 약 22,300 |
안전입찰가 (80%) | 약 20,960 |
손절라인 (시세의 70%) | 약 17,800 |
✅ 추천 입찰가:
- 보수적 투자자: 2억~2.1억 선
- 실입주/중장기 보유 고려 시: 최대 2.2억까지
- 단타 목적 시: 2억 이하 낙찰이 아니면 수익 매우 제한적
📈 수익성 분석
- 전세 시세: 평균 2억 (2025.03~04 기준)
- 전세가율: 약 85~90% (높은 편)
- 단기매각 가능성: 실거래가 기준 2.3~2.5억 수준이므로, 낙찰가 2억 이상이면 단기차익 매우 제한
- 중장기 보유 가정 시: 보유기간 중 전세 수익 기대는 있으나, 시세 상승 여력은 크지 않음
💡 투자 전략 정리
항목평가
투자 적합성 | ⚠️ 보수적 접근 필요 (외곽지, 시세 상승 제한) |
단타매매 | ❌ 적합하지 않음 (낙찰가 대비 시세 차익 적음) |
중장기 보유 | △ 가능하나 입지와 수요층 고려 시 리스크 있음 |
임대 수익형 | ○ 전세 수익률은 양호하나, 환금성은 떨어짐 |
실거주 목적 | ○ 적당한 가격에 낙찰 시 주거환경 양호 |
📍 결론
낙찰받을 가치가 있는지?
- 조건: 낙찰가가 2억 이하일 경우에만 투자로서 의미 있음
- 외곽 입지, 시세 상승 기대 낮음 → 단기 수익은 어려움
- 실거주 or 전세 수익형으로 접근 시 보유 전략은 가능
- 특히 입찰자가 적다면 좋은 낙찰가 가능성 존재
① 낙찰자 수 예측 (경쟁 강도 판단)
최근 같은 단지/인근단지 경매 낙찰 통계를 기반으로 예측해보면
2024타경1703 | 92.43% | 27명 |
2024타경2263 | 87.49% | 14명 |
2024타경42216 | 85.21% | 15명 |
2023타경2440 | 80.76% | 7명 |
➡️ 예상 입찰자 수: 10~18명 정도
판단 요약:
- 본건은 2차 입찰(70%)로 진입한 상태라 경쟁이 다소 완화될 수 있음
- 최근 2억 초반 실거래가 확인 후, 입찰 심리 낮아질 가능성 있음
- 낙찰가가 2.1억을 넘어서면 수익성이 떨어지는 점을 입찰자들도 인지하고 있음
✅ 전략: 보수적으로 10명 이상 입찰을 가정하고, 상위 3명 이내를 목표로 입찰가 설정하세요.
✅ 1. "갭 투자" 방식의 전세 레버리지 활용
조건:
- 낙찰가: 약 2.1억~2.2억
- 전세가: 약 2.0억 (실거래 기준 보수적 추정)
전략 개요:
- 전세 2.0억 놓고 실투자 1,000만~2,000만 원
- 실거래 시세가 2.4억 근처까지 도달할 경우 2~3년 후 차익 실현 가능
📊 장점:
- 소액 투자로 중장기 수익 노림
- 현재 전세 수요는 실거주 기반이므로 리스크 낮음
- 월세 부담 없음
⚠️ 단점/리스크:
- 전세 물량 과잉시 공실 가능성
- 전세가 하락 시 역전세 위험
- 시세가 정체되면 수익률 하락 (0~3%/년)
✅ 2. 중장기 실거주 + 3년 뒤 양도세 비과세 매도
전략 개요:
- 실거주 요건 2년 이상 충족
-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 활용
- 2025년 시세 반등 가능성에 기대 (수도권 외곽 일부 거래 회복 조짐)
📊 장점:
- 매도시 양도세 거의 0 (1주택자 요건 충족 시)
- 전세금 없이 안정적 거주 가능
- 인근 대학(중앙대)·도로망 확장 기대 약간
⚠️ 단점:
- 실거주가 가능한 조건이어야 하며, 이사비·이전비용 등 추가부담 발생
- 시세 상승 불확실성
✅ 3. 전세 후 장기보유 + 리모델링 타이밍 노리기
보유만 하면서 중장기적으로 리모델링 또는 재정비 구역 지정 가능성을 노리는 방식입니다.
현실 근거:
- 안성은 시 전체의 재건축/재개발 이슈는 적으나, 노후화 이후 장기적 접근 가능
- 이 물건은 신축(2016년식)이라 리모델링 대상은 아님 → 다만 단지 전체 가치 안정성이 있음
📊 장점:
- 리스크 낮은 안정 보유형 자산
- 향후 보유세 부담 낮고, 인근 외곽 확장 가능성 반영
⚠️ 단점:
- 수익률이 매우 낮고, 현금화 기간이 김
- 급매 필요한 경우 손해 가능성
💡 정리 – 2억 초중반에 낙찰받는다면?
항목판단
단타 | ❌ 절대 불가, 수수료·세금 고려하면 마이너스 |
갭투자 | ⭕ 소액 실투자, 전세가율 높아서 안정적 |
실거주 후 매도 | ⭕ 2년 이상 거주 + 비과세 조건이면 효율적 |
장기보유 | △ 원금보전형, 리스크 낮지만 수익 낮음 |
📍 결론 & 제안
전세가 확실하게 2억 확보 가능한 상황이면, 2.1억에 낙찰받고 '갭 투자' 또는 실거주 후 비과세 전략이 가장 유효합니다.
📍 낙찰가
2억 4655만 5000원
너무 높은 가격이다.. 백퍼 실거주다..
'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매공부) 2024타경44127 : 7/22 매각기일 (0) | 2025.06.18 |
---|---|
경매공부) 2024타경 75931 : 완료 (1) | 2025.06.16 |
경매공부) 용어 - 등기평수 vs 전용평수 vs 분양평수 (1) | 2025.06.15 |
경매공부) 용어 - 건폐율 VS 용적률 (0) | 2025.06.15 |
경매공부) 2bay 3bay 4bay 아파트 구조 (0) | 2025.06.15 |